건강한생활

수족냉증 치료 손발이 차가워요

사석위호 2013. 3. 18. 09:55

춥지 않은 날씨인데도 한겨울 처럼 소발이 차갑게 느껴지는 수족냉증.

 

 

추위를 느끼지 않을 온도에서 손이나 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것을 수족냉증이라고 합니다.

 

수족냉증의 원인.

대체로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에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이나 발과 같은 말초 부위에 혈액공급이 감소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출산이나 폐경과 같은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수족냉증은 다양한 원인 질환에 의해 생길 수 있지만. 현재까지 밝혀진 확실한 이유는 없다.

 

 

수족냉증의 증상.

따뜻한 곳에서도 손발의 냉감을 호소하지만 때로는 무릎이 시리며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냉기를 함께 느끼기도 합니다. 남성보다 여성, 특히 출산을 끝낸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수족냉증이 중년 여성에게서 많이 발병되는 이유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호르몬의 변화가 큰 것을 들 수 있고, 또한 정서적으로 긴장을 많이 하고 남성보다 예민한 여성의 특성 때문이기도 합니다.

 

 

수족냉증의 치료.

치료의 목적은 증상의 정도를 줄이고 조직 손상을 막는 것이다.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다.

* 생활 습관 교정
손발뿐 아니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해야 한다. 두꺼운 옷 한 벌보다는 느슨한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낫다. 겨울철에 외출할 때에는 모자, 귀마개, 목도리, 따뜻한 양말, 부츠 및 장갑 등을 가능한 모두 사용하여야 한다. 장갑을 끼는 것을 잊지 않기 위해서 문에 여분의 장갑을 두는 것이 좋다. 거리에서 걸을 때에는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걷도록 하고 집은 언제나 따뜻하게 보온이 되어야 한다. 세수나 설거지 등을 할 때에는 찬물대신 따뜻한 물로 하고, 단열이 되는 컵을 사용하며 손발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 한다. 냉장고에서 음식을 꺼낼 때에는 장갑, 냄비 집게를 사용한다.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자동차를 타기 전에 미리 예열을 해 두는 것이 좋다. 감정적 스트레스를 회피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면 도움이 된다. 흡연이나 간접 흡연도 피해야 한다.

또한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는 약제인 피임약, 심장약, 편두통약, 혈압약 등을 피하며. 운동으로 전반적인 안녕감을 조장하고 체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바이오피드백
혈관이 이완되지 않도록 억압되지 않은 행동과 정신적 안도감 증가가 중요하다.

바이오피드백 치료란 센서를 손가락 끝에 부착 후 손가락 체온의 변화를 모니터함으로써 훈련하는 방법이다.